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#JPA-3 JPA 객체와 TABLE 매핑 & JPA 동작 확인 & JPQL정의
    JPA 2021. 2. 15. 15:46

    [출처] 인프런 김영한 강사님 -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기본

    1. 객체와 테이블 생성하고 매핑

    MEMBER Table 생성

    MEMBER TABLE

    MEMBER Table과 MAPPING시킬 Member Class 생성 

     

    Member Class

    • @Entity: JPA가 관리할 객체

       - JPA가 처음 로딩될때 JPA를 사용하는 애로 인식 -> 해당 Entity를 관리해야겠다고 생각함

       - 만약 Table명이 객체 이름이랑 다를 경우 -> @Table(name = "tableName")

    • @Id: 데이터베이스 PK와 매핑

       - Pk 설정 

    • @Column(name ="colName") : field 명이 column 이름이랑 다를 경우 사용. 

     

    2. EntityManagerFactory & EntityManager & EntityTransaction

    EntityManagerFactory & EntityManager & EntityTransaction

    1. EntityManagerFactory : 엔티티 매니저 팩토리는 하나만 생성해서 애플리케이션 전체에서 공유

       - Application loading 시점에 딱 하나만 만들어서 전체에서 공유

    2. EntityManager :  쓰레드간에 공유X (사용하고 버려야 한다).

       - EntityManagerFactory가 고객의 요청이 올때마다 EntityManager을 생성한다.

       - 실제 DB에 저장하는 transcation 단위,  고객의 행위, 즉 상품을 장바구니에 담을때마다 DB CONNECTION

         얻어서  QUERY를 날리고 종료되는 한 일괄적인 단위를 할때마다 EntityManager을 만들어줘야한다.

    3. EntityTransaction: JPA의 모든 데이터 변경은 트랜잭션 안에서 실행.

    4~5. 자원해제 : 

        - (4) EntityManager가 내부적으로 DB CONNECTION을 물고 동작하기 때문에 사용 다하면 자원해제를 해줘야한다.

        - (5) WebApplication일 경우 was가 내려갈때 EntityManagerFactory를 자원해제 해줘야한다.
               그래야
    connection pooling, resource가 내부적으로 release된다.

     

    3. JPQL이 생겨난 이유

    • JPA를 사용하면 엔티티 객체를 중심으로 개발

    • 문제는 검색 쿼리

    • 검색을 할 때도 테이블이 아닌 엔티티 객체를 대상으로 검색

    • 모든 DB 데이터를 객체로 변환해서 검색하는 것은 불가능

    • 애플리케이션이 필요한 데이터만 DB에서 불러오려면 결국 검 색 조건이 포함된 SQL이 필요

     

    -> 이런한 이유로 JPA는 SQL을 추상화한 JPQL이라는 객체 지향 쿼리 언어 제공

     

    4. JPQL이란 ???

    방언에 맞춰서 각DB에 맞게 표현을 해준다.

    • SQL과 문법 유사, SELECT, FROM, WHERE, GROUP BY, HAVING, JOIN 지원

    • 테이블이 아닌 객체를 대상으로 검색하는 객체 지향 쿼리

    • SQL을 추상화해서 특정 데이터베이스 SQL에 의존X

    • JPQL을 한마디로 정의하면 객체 지향 SQL

     

    5. JPQL과 SQL의 차이

    • JPQL은 엔티티 객체를 대상으로 쿼리

    • SQL은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대상으로 쿼리

    댓글

Designed by Tistory.